본문 바로가기
철학과 사상

철학과 사상 소크라테스 철학. 행복론. 지덕복(知德福) 합일론

by 철학과 사상 2023. 3. 31.
반응형

철학과 사상 소크라테스 철학, 행복록, 지덕복(知德福) 합일론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 태어나 당시 소피스트들의 궤변에 대항하여 보편적인 지식으로 진리를 표현한 현재 서양 철학의 아버지로 여겨집니다. 그의 철학은 진리의 본질, 인간의 조건, 삶의 목적에 목표를 두었습니다.

철학과 사상 소크라테스 지덕복합일
철학과 사상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철학

그는 진정한 지식은 단순한 의견이나 믿음이 아니라, 개념과 원리에 대한 확고한 이해에 기초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으로 대응함으로써 잘 알려진 소크라테스 질문 및 조사 방법은 개인들이 자신의 신념과 주장을 논리적인 추론으로 밝혀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표현 중에 하나는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알기에 당신보다 내가 현명하다는 것입니다'라는 표현입니다. 이 말은 겸손과 자기 인식을 강조한 소크라테스의 지식 철학을 요약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가 주장하는 진정한 지식은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세상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를 얻기 위해 기꺼이 질문하고 탐구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진정한 지식이 인간의 행복과 성취의 열쇠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무지와 혼란이야말로 인간의 고통의 근원이며, 진정한 지식과 지혜를 추구함으로써 개인이 이러한 부정적인 마음 상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진정한 지식은 단순히 사실을 알고 또는 암기하는 문제가 아니라, 세상을 지배하는 기본 원칙과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포함하는 진정한 이해하고 주장하였습니다.

행복론

그의 행복론을 정리하기 위해 윤리와 관련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는 윤리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덕인 이성을 잘 발휘하는 것이 좋은 삶을 사는 열쇠하고 믿었습니다. 그의 윤리 철학은 미덕이 외적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내적 성격의 문제라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그는 유덕한 삶을 사는 방법은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참된 지식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개인이 자신의 가치와 신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 성찰과, 성찰의 과정에 최대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가 주장하는 진정한 미덕은 외부에서 부과될 수 없으며 오히려 내부에서 발견되어야 한다고 믿었다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의 윤리철학은 행복한 삶이라는 이념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그는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가 행복과 성취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진정한 행복은 덕과 지혜의 삶을 살고 지식과 이해를 추구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물질적 재화와 외적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헛된 일이며, 진정한 행복은 지혜, 용기, 정의와 같은 내적 덕목의 함양을 통해서만 찾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는 외적인 선을 추구하는 것이 때때로 인간의 고통과 불만의 근원이 되며, 개인은 전정한 상태의 근원을 자신 안에서 찾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덕복(知德福) 합일론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참된 지식, 인간의 탁월성을 잘 발휘하는 덕성, 그리고 행복은 결국 하나와 같다'라는 지덕복(知德福) 합일론으로 최종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중 하나라도 성취하게 된다면 모두가 하나와 같기에 순서와 상관없이 지덕복 합일론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인간으로서 탁월성인 이성을 통하여 참되고 진실된 지혜를 같게 된다면, 그것이 바로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덕성인 이성의 발현이 잘 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가 바로 인간 이 가지는 최고의 선인 행복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방법으로 전개해 본다면, 인간의 이성이 잘 발휘되는 탁월성 즉 덕성이 갖춰질 때 인간은 행복하고, 참된 지식을 갖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이 바로 소크라테스의 지덕복(知德福) 합일론입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를 계승한 아리스토텔레스는 합일론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철학을 추가하는데 그것은 바로 실천성입니다. 참된 지혜를 갖거나, 탁월성이 발휘되거나 행복한 상태가 되었다면,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다음 시간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