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사상 원효의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사상, 나무아미타불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는 7세기경 한반도 신라에서 태어나(617년~686년) 통일신라 신문왕 때 입적하였습니다. 성은 설 씨이고, 법명이 원효입니다. 불교계에서 손꼽히는 승려이며, 그 이유는 그의 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원효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일화가 무엇일까요? 아마도 해골물 사건일 것입니다. 당나라에 부처님 말씀을 배우러 가는 길에 야외에서 잠잘 곳을 찾아 들어간 곳이 무덤 속이었고, 목이 말라서 캄캄한 어둠 속에서 더듬더듬하며 찾아낸 바가지 속에 물을 매우 달콤하게 마셨는데, 다음날 그것은 해골에 있었던 썩은 물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순간 그는 뱃속에 있는 모든 것들을 토해내기 시작합니다. 진작에 소화가 되었을 충분한 시간이 지났는데도, 모든 것을 토해버리는 자신의 행동에서 원효는 큰 깨달음을 얻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입니다.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만들어내는 것이다는 뜻으로 이것을 깨달은 원효는 즉시 당나라 유학길을 멈추고 신라로 돌아와 고통받는 백성들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갑니다.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사상
원효 사상의 중심은 일심(一心)과 화쟁(和諍) 사상입니다. 일체의 모든 이론들은 일심을 바탕으로 하여 깨달음을 제시하는 것이며, 서로 다른 이론은 하나인 마음의 진리를 다른 관점에서 보는 것일 뿐이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는 일심이란 일체의 대립을 초월하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수많은 이론들이 만들어지지만, 이것은 다시 일심으로 종합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일심에 바탕을 둔 원효의 사상은 다양한 이론과 종파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 바탕 위에서 전체로서의 하나라는 조화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청색과 남색이 다르지만 그 바탕은 같은 것이며, 얼음과 물은 상태로 보면 다르지만 그 근원은 하나다라고 이야기하며 모든 종파의 주장은 달라 보이지만, 결국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에는 다르지 않으니 서로가 다툴 필요가 없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원효는 당시 교종과 선종의 극렬한 대립을 바라보며 해결책을 제시한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종파와 사상을 분리하여 다투지 말고, 고차원적인 하나로 종합하는 원융회통 사상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모든 논쟁을 조화시키고자 했던 원효의 화쟁사상이며, 이를 통해 화합과 조화의 하나 된 불교가 되는 노력의 계기가 시작될 수 있었습니다.'도는 모든 존재에 미치지만, 결국 하나의 마음에 근원으로 돌아간다'며 만물을 차별 없이 사랑하는 자비의 삶을 강조하는 부처님의 뜻과도 잘 조화가 되는 원효의 일심과 화쟁사상이라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나무아미타불
그는 위에서 살펴본 불교 이론의 제시와 함께 전국을 다니며 백성들과 함께 하면서 불경을 읽지 못해도 염불만 외우면 부처님의 곁인 극락에 갈 수 있다며 불교를 대중화시키는데 최선을 다해 실천했습니다. 그리고 백성들이 외웠던 염불이 바로 '나무아미타불'의 6글자 였습니다. 아미타불은 죽어서 갈 수 있는 극락세상을 관장하는 부처님입니다. 당시 대부분의 백성들은 현세에서 매우 힘들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이에 원효는 현세에서는 힘들겠지만 부처님 말씀을 잘 따르며 살아가다 죽고 난 이후에는 편안하게 부처님이 계신 극락정토에서 살아갈 수 있다는 믿음을 주었고, 그 방법은 너무나 간단한 염불을 읊조리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당시 백성들은 불교 경전이 어려운 한문으로 쓰여 있어서 읽을 방법도 몰랐고, 그리고 먹고살기에 바빴기에 불교에 대하여 무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원효의 나무아미타불을 중얼거리는 단순한 방법으로 당시 백성들에게 불교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고, 이것은 당시 신라의 철저한 신분제도의 폐해를 조금은 완화시키고 하나가 될 수 있는 조화를 이루어 내는데 도움을 주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일상생활에서 불교 신자들은 스님과 인사를 나눌 때 쓰는 일반화된 인사가 되었을 정도이니 대중화가 확실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철학과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과 사상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천태종(天台宗). 교관겸수(敎觀兼修) (0) | 2023.05.19 |
---|---|
철학과 사상 의상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 관음 신앙 (0) | 2023.05.18 |
철학과 사상 니부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사회윤리 문제의 해결책 (0) | 2023.05.16 |
철학과 사상 갈퉁 폭력의 삼각형.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 (0) | 2023.05.13 |
철학과 사상 루터 종교개혁의 배경. 95개조 반박문. 종교개혁 결과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