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과 사상

철학과 사상 니부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사회윤리 문제의 해결책

by 철학과 사상 2023. 5. 16.
반응형

철학과 사상 니부어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사회윤리 문제의 해결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는 1892년 미국에서 태어나 신학자이자 목사이며 대표 저서로는 1932년 발간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입니다.

철학과 사상 니부어 사회윤리
철학과 사상 니부어 사회윤리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그의 사상 중 가장 유명한 것은 개인과 집단의 도덕성에 관한 비교입니다. 우리가 전통적인 윤리에서 주로 다루는 것은 개인의 양심과 이타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개인과 개인 간의 다툼에 있어서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과 나 자신의 욕심을 내려놓음으로써 충분히 해결이 가능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가 살았던 시대에는 집단과 집단의 이기심으로 충돌과 나아가 전쟁으로 매우 혼란한 시기였습니다. 그의 대표 저서인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가 출간한 연도를 보면 세계대전의 처참한 참상을 겪은 인간들의 고통을 넘어 집단 간의 문제를 파헤치고 해결책까지 제시한 놀라운 관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니부어는 아무리 개인들이 도덕적인 본성을 같고 있다 하더라도 집단화가 되는 순간 도덕적인 집단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님비현상입니다. Not In My Back Yard 란 혐오시설이 동네에 들어온다는 이야기에 모든 마을주민들이 하나가 되어 반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들은 여전히 도덕적인 본성을 같고 있을 수 있지만, 집단을 인격체로 놓고 본다면 무조건 이기적인 집단으로 변하고 만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개인과 집단이 추구하는 이상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이상적인 도덕적 삶은 바로 이타심입니다. 각자 모든 개인들이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고 배려해 주는 삶을 살아갈 때 도덕적인 이상향이 완성된다고 보지만 집단은 다릅니다. 집단의 이상향은 정의 실현입니다. 이때 정의란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단적인 예를 들어보자면, 집단의 큰 범주는 국가가 되는데,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이 발생 시 정의는 바로 승리가 되는 것입니다.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무자비하게 상대국 군인들을 죽이고, 파괴하는 행위들을 어느 한쪽이 항복할 때까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비극이 펼쳐집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살상은 정의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 매우 비윤리적이라는 모순에 빠지게 됩니다. 세계대전 당시 애국심이라는 이타심으로 자신을 희생하면서도 전쟁에 참여한 수많은 젊은이들은 결국 국가의 정의 실현인 전쟁에서의 승리라는 것에 희생양이 되어 처참히 죽어나갑니다. 결국 개인윤리적인 문제와 사회윤리적인 문제를 비교해 보면 상당한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해결책 또한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입니다.

사회윤리 문제의 해결책

개인들 간의 문제는 개인들의 이타심과 양보로 충분히 해결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윤리적 집단 간의 문제는 이타심만으로는 충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집단 간에 부정의의 원인은 이해관계의 차이에서 발생하고, 각 집단 간의 힘의 차이에서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 개인들의 양심만으로는 사회 제도나 사회 구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니부어는 집단 간 문제의 해결책으로 힘의 균형과 비합리적인 수단인 외부적인 강제력 사용을 주장합니다. 단 이러한 강제력은 선의지에 통제를 받는 강제력을 의미하며 도덕성과 합리성에 어긋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폭력의 강제성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폭력은 비도덕적 이기만 한 것일까요? 혁명에 대한 그의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의 특권층이 정부를 이용하여 부당한 공권력을 동원하여 시민을 탄압하는 경우 혁명을 통하여 저항하는 것이 정의를 실현하는 방법이며 도덕적으로 정당화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면 전쟁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그는 전쟁에는 성격상 종류를 나눌 수 있는데 정의로운 전쟁 같은 경우는 선의지에 통제를 받는 강제력이라고 주장합니다. 당시 독일 히틀러의 나치즘은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부정 의한 이념이며 평화를 위협하는 악의 축이었기에, 그는 이들에 대항하여 정의를 실현하는 전쟁을 정의로운 전쟁이라고 주장했던 것입니다. 다만,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 강제력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러한 강제력의 최소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처럼 당시 미국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그의 사회윤리적 사상은 오늘날에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반응형